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조문 문상 시 상황별 인사말, 상주 대답 예시, 주의 사항

by roadkim 2025. 3. 7.
반응형

문상(問喪)은 가까운 지인이나 친척이 상을 당했을 때 빈소를 찾아 조의를 표하는 행위입니다. 문상을 할 때는 경건한 태도를 유지해야 하며, 상황에 따라 적절한 인사말을 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상은 상주(喪主)에게 위로를 전하는 자리이므로 형식적인 표현보다는 진심 어린 위로가 더욱 의미가 있습니다.

 

문상-인사말-답례
조문 인사말

 

1. 문상할 때의 기본예절

1) 복장

▶ 문상을 갈 때는 검은색 또는 어두운 색상의 단정한 옷을 착용합니다.

남성은 정장을 착용하고 넥타이는 검은색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여성은 화려한 장식이 없는 단순한 디자인의 검은 옷이 적절합니다.

밝은 색상의 의상이나 노출이 심한 옷은 피해야 합니다.

 

2) 문상 절차

빈소에 들어서면 먼저 고인의 영정 앞에서 조문합니다.

헌화 및 분향이 있을 경우, 절차에 따라 조용히 진행합니다.

고인에게 재배한 후, 상주에게 절을 합니다.

상주에게 조의를 표하는 말을 짧게 전합니다.

문상을 마친 후 조용히 자리를 물러납니다.

 

장례식장-조문-하는-법-예절-복장-절하는-법
장례식장 조문 방법 보다 자세히 알아보기

 

2. 문상할 때의 상황별 인사말

1) 부모상을 당한 상주에게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친환으로 많이 근심하시더니 이런 슬픈 일을 당하시니 얼마나 망극하십니까?"

 "그동안 효성을 다하셨음에도 이별을 맞이하셨으니 마음이 더욱 아프시겠습니다."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부디 힘내시길 바랍니다."

 

 

상주의 대답 예시

"위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너무도 큰 슬픔이라 뭐라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찾아와 주셔서 감사합니다."

 

2) 배우자상을 당한 상주에게

아내를 잃은 경우: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얼마나 섭섭하고 애통하십니까?"

"고인의 빈자리가 더욱 크게 느껴지시겠습니다. 부디 힘내십시오."

"깊은 애도를 표하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남편을 잃은 경우:

"하늘이 무너진 듯한 슬픔이시겠습니다. 진심으로 위로의 말씀을 전합니다."

"어떠한 말로 위로를 전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부디 용기를 내십시오."

"고인의 명복을 빌며 깊은 조의를 표합니다."

상주의 대답 예시

"조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렇게 찾아와 주시니 큰 힘이 됩니다."

"고인의 명복을 빌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3) 형제자매상을 당한 상주에게

"할반지통이 크시겠습니다. 깊은 애도를 표합니다."

"사랑하는 형제를 잃으셨으니 마음이 많이 아프시겠습니다."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힘내십시오."


상주의 대답 예시

"슬픔을 함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위로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찾아와 주셔서 고맙습니다."

 

4) 자녀상을 당한 상주에게

"참척의 슬픔을 겪으시니 얼마나 가슴이 미어지십니까."

"이토록 큰 아픔을 어떻게 견뎌야 할지 감히 헤아릴 수 없습니다."

"깊은 애도를 표하며, 부디 힘내시길 바랍니다."


상주의 대답 예시

"고인의 명복을 빌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렇게 찾아와 주셔서 감사합니다."

"너무 큰 슬픔이라 말로 표현하기 어렵습니다."

 

 

5) 친구의 가족상을 당한 경우

"많이 슬프시겠습니다.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이런 슬픈 일을 당하셔서 얼마나 마음이 아프십니까."

"고인의 명복을 빌며, 부디 용기를 잃지 마시길 바랍니다."


상주의 대답 예시

"위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찾아와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슬픔을 함께 나눠 주셔서 고맙습니다."

 

조문-위로-문자-못-갈-경우
장례식장에 방문하지 못하는 경우에 보낼 수 있는 조문 위로 문자 예시 모음

 

3. 문상 시 삼가야 할 행동

1) 상주에게 부담을 주는 행동

상주를 붙잡고 오래 이야기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위로하려는 마음에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행동하면 상주가 더욱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2) 부적절한 언행

"어떻게 돌아가셨나요?", "건강은 괜찮으셨나요?" 등의 질문은 삼가야 합니다.

"너무 슬퍼하지 마세요.", "시간이 해결해 줄 거예요." 등의 말은 위로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상주에게 악수를 청하거나 등을 두드리는 행위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문상객 간 예절

조용한 목소리로 말하며, 큰 소리로 웃거나 떠드는 행동을 삼가야 합니다.

친한 사람을 만나더라도 조용히 인사하고, 이야기가 필요하다면 빈소 밖에서 나누는 것이 예의입니다.

 

4) 문상 중 음식과 술자리 예절

지나친 음주를 삼가고, 고인의 빈소에서 소란을 피우지 않도록 합니다.

음식을 먹을 때도 조용하고 단정한 태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상주가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적절한 시간 내에 자리를 정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장례식장-금기-사항
장례식장 금기 사항 9가지 자세히 알아보기

 

4. 문상 시 유의해야 할 종교 및 문화 차이

기독교식 장례의 경우 분향과 절을 하지 않고 헌화를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불교식 장례에서는 향을 피우고 절을 올리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개인의 신앙에 따라 유가족과 상의하여 예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가의 종교와 문화에 따라 행동을 조절하여 유가족을 존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예의입니다.

 

 

5. 결론

문상은 단순한 형식적인 절차가 아니라, 상주의 슬픔을 함께 나누고 위로하는 자리입니다.

 

상황에 맞는 적절한 인사말과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무엇보다 진심 어린 조의를 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문상 예절입니다.

 

문상을 마친 후에도 상주에게 필요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배려하는 자세를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조문-답례-감사-문자
조문 답례 감사 문자 자세히 알아보기

 

반응형